구성수메인

Seoul Eye: 그리고 여전히 서울

변함없이 고단한 서울에서, 오늘도 사람들은 살아간다.

광고하는

간혹 어른들은 그래도 예전이 살기 좋았다고 말한다. 하지만 지나간 어제와 달리 현실은 언제나 녹록지 않다. 23살의 대학원생이던 구성수가 기록한 24년 전의 서울도 그렇다. 어느 것 하나 분명하지 않은 내일을 위해, 사람들은 각자의 고단함을 견디며 일상을 이어나갔다.

1992년, 구성수는 사진 대학원에 진학하기 위해 대구에서 서울로 상경했다. 당시 주머니 사정이 여의치 않았던 그는 ‘핫셀블라드’나 ‘롤라이 플렉스’ 같은 고가의 카메라 대신 오래된 독일식 카메라 ‘자이스이콘’을 들고 길거리로 나섰다. 1993년부터 1998년까지 서울사람들의 모습을 매일같이 카메라에 담았고, 5년 동안의 기록 중 일부를 엮어 ‘서울에서 살아간다는 것’을 발표했다. 정사각형의 흑백사진 안에 담긴 사람들은 다소 무거운 정취를 풍긴다. 시위를 하는 사람들 틈에서 조용히 카메라를 뒤돌아보는 남자의 눈빛과, 신문지가 널브러진 서울역 앞 여자의 표정은 어딘지 모르게 불편하다. 당시 혼란스러웠던 서울이 짊어진 사회의 무게를 자신의 몫보다 조금 넘치게 나누어 가졌다고 말하는 것도 같다. 또한 버스 뒷좌석에 앉아 창 밖 풍경을 응시하는 여자와 지하철 역 앞에 기대어 담배를 피우는 중년 남성에게서도 삶의 피로를 느낄 수 있다. 이토록 힘든 서울에서, 그들에게 살아간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

물론 구성수가 포착한 서울의 모습이 당시의 모든 것을 대변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대학원생의 신분으로 불안정한 시절을 보내던 작가 본인의 모습이 사진 속 인물에 투영되어 있는지도 모른다. 작가는 ‘미래에 대한 두려움은 예나 지금이나 다르지 않은 것 같다. 당시 길을 걸으며 마주치는 사람들에게서 스스로의 거울을 보려 했던 것 같다’고 말한다. 이제 중년을 넘어선 그에게도 여전히 서울은 쉽지 않은 곳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를 포함한 우리는 계속해서 서울의 오늘을 살아간다. 각자의 사연과 의미를 만들어내며
광고하는

광고하는

서울을 포착한 작가 더 보기

  • Art
가족사진치고 가족을 제대로 보여주는 사진은 거의 없다. 스튜디오에서 새하얀 조명을 맞아본 적이 있다면 쉽게 공감할 수 있을 것이다. 평소에 입지 않는 옷 매무새를 바로잡다 보면 사진가의 목소리 들려온다. “자, 자연스럽게 웃어보세요”. 이렇게 낯선 곳에서 화목한 척을 하라니! 하지만 정연두의 사진 속 인물들은 비교적 편안해 보이면서도, 어딘가 모르게 생소하다. 척추를 곧게 펴고 카메라를 응시하는 가족들. 그들의 미소는 어색하기 짝이 없지만, 사진은 단순한 인물이 아닌, 각각 가족의 분위기를 살려낸다. 작가는 카메라를 들고 직접 가족의 집을 방문했기 때문이다.
  • Art
Seoul eye: 전국노래자랑은 계속된다
Seoul eye: 전국노래자랑은 계속된다
라디오를 스마트폰처럼 애지중지했던 80년대. 핸드폰으로 TV를 챙겨 보는 학생들에게는 생소한 시절이지만 “전국노래자랑”은 X세대가 태어나기 전부터 경기도 오산의 슈퍼우먼, 노래하는 충남의 할머니 등 연령과 국적 불문의 독특한 재주꾼들을 조명해왔다. TV에 비춰지는 순간 연예인으로 급부상하고, 방송이 끝나면 동네에서 알아주는 재주꾼으로 돌아가는 ‘빤짝스타’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사람들의 기억 속에서 순식간에 잊혀지는 것이 또 순리였다. 그러나 변순철은 2005년부터 “전국노래자랑”의 출연자들을 사진으로 담아왔다.  
광고하는
  • Art
Seoul eye: 디터 라이스트너 사진 속 평양과 서울 찾기
Seoul eye: 디터 라이스트너 사진 속 평양과 서울 찾기
평양은 배고프고 억압받는 도시, 그리고 서울은 잘 먹고 잘사는, 자유로운 곳. 한국에 한 번도 와보지 못한 외국인들이 남한과 북한을 그릴 때 떠올리는 가장 대표적인 이미지다. 평양에 가보지 못한 서울 사람들 또한 대부분 근거 없이, 비슷한 결론을 내린다. 하지만 건축가이자, 사진작가인 디터 라이스트너(Dieter Leistner)는 이 모든 게 진부한 편견이라고 설명한다. 
추천작
    추천작
    추천작
    광고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