뮤지컬 시카고 최정원

뮤지컬 배우 인터뷰: 시카고의 최정원

그녀는 16년째 “시카고”에 출연 중이다.

광고하는
“‘우와 저렇게 감정을 노래로, 춤으로 표현하는 게 뭘까?’ 뮤지컬이더라구요. 저걸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시작했죠.” 주말의 명화에서 방영해준 “사랑은 비를 타고”를 보던 고등학생은 지금 데뷔 27년 차 뮤지컬 배우가 됐다. 몸이 아팠다가도 무대에 서면 에너지를 받는다는 그녀는 뮤지컬 배우가 조금은 천직 같다고 말했다. 뮤지컬 배우가 천직이라면, 뮤지컬 “시카고”는 그와 어깨를 나란히 하는 작품이 될 것이다. “시카고”는 록시 하트라는 역으로 그녀에게 첫 여우주연상을 안긴 작품이며 역할을 바꾸어 그녀가 초연부터 지금까지 열 두 시즌째 빠지지 않고 참여하는 작품이기 때문이다. “제가 지금 햇수로 16년째 하고 있지만 정말 관리 잘해서 “시카고" 만큼은 좋은 배우들과 오래오래 하고 싶은 욕망이 있어요.” 뮤지컬 “시카고”의 개막을 앞두고 연습실로 향하는 길에서 배우 최정원을 만났다. 그녀는 이야기를 하며 무대에서처럼 표정을 짓고 대사를 읊었다.
 
어느덧 12번째 시즌이다.
“시카고”라는 작품이 묘한 게 하면 할수록 더 재미있다. 지금 관객들이 보는 많은 뮤지컬이 메커니즘에 의해서 무대세트와 의상이 변하지 않나. “시카고”는 그런 장치 없이 배우들의 재능으로 이루어진다. 뮤지컬 배우 하면 떠오르는 게 노래, 춤, 연기지 않나. “시카고”라는 작품만큼 이 세 가지를 골고루 나눠 가진 게 있을까 싶다. 그래서 누가 하느냐에 따라 퀄리티가 달라진다. 컨디션이 좋은 날과 안 좋은 날의 차이도 많이 난다. 반대로 배우들의 성취감은 굉장히 높은 작품이다. 내가 뮤지컬 배우로 살고 있다는 걸 많이 느끼게 한다.
 
함께 만든 대사나 장면이 많을 것 같다.
2막이 시작되고 사다리에 올라가서 “잘 ‘쉬~’다 왔어?” 하는 대사는 원래 대본에는 없다. “웰컴!어서 오세요!” 이런 영어적인 표현이 아니라, 그냥 관객들이 정말 ‘쉬’하러 갔다 온 거지 않나. 우리나라 정서에 맞게 바꾼 것이 많다.
 
지난 시즌에 출연한 배우들이 다시 모였다.
이번 “시카고” 내한공연을 다 봤다. 공연이 진짜 좋았다. 그러다 보니 더 빨리 하고 싶은 거다. ‘그래!’ 이런 느낌을 받았으니까. 자극도 됐고. 공연을 보며 좋았던 것들은 조금 더 접목하고 부족한 부분은 채워나가야 할 것 같다.
 
초연에서는 록시를, 지금은 벨마를 연기한다. 처음 벨마를 맡게 됐을 때의 기분을 솔직하게 이야기한다면.
2000년도에 록시 하트로 시작하고, 2007년도에 벨마 켈리를 맡아서 하게 됐다. 처음에 섭섭하지 않았다고 하면 거짓말일 것이다. 왜냐하면 ‘아직 나 록시 할 수 있는데, 다시 하면 더 잘할 것 같은데’라는 마음이 있었으니까. 그런데 세월이 흘렀고 여러 작품을 하면서 어느덧 후배가 더 많은 나이가 됐다. 또 후배들이 정말 잘한다. 사실 이 역할에서도 록시가 등장하며 한물간 여배우가 되지 않나. 그래서 나를 내려놓고 ‘한번 잘해보자, 록시를 많이 서포트해줘야지’ 하는 마음으로 시작했다. 2000년도에 록시를 하며 첫 여우주연상도 받고 많은 이슈가 됐는데, 2007년도에 벨마로 바꾸니 반응이 너무 뜨거웠다. 배우로 살아가면서 같은 공연에 두 가지 역할을 한다는 게 쉽지 않은데, 이런 기회가 오고 그걸 소화할 수 있다는 게 너무 좋았다.
 
두 역할은 각각 어떤 매력이 있나?
록시 하트는 드라마 쪽으로 굉장히 탐나는 역할이다. 특히 모놀로그. 이거는 사람들 앞에 나서서 이야기하는 게 아니라, 당신한테 ‘사실 나는 진짜 뜨고 싶어’ 이렇게 속삭이는 거다. 원맨쇼 같은 느낌이 들면서 진짜 재미있다. 관객들이 춤과 노래를 할 때보다 더 반응이 좋을 땐 정말…. 그런 것부터 시작해서 록시는 쥐었다 놓았다, 남자뿐만 아니라 관객들을 갖고 놀아야 한다. 벨마는 굉장히 쿨하다. 지금 누가 옆에서 때린다고 하면 록시는 “아우 아퍼~” 이렇게 하지만 벨마는 “뭐 하는 거야, 지금” 이렇게 할 거다. 사실 나는 록시에 더 가까운 성격인데 그것을 조절하면서 이 공연에서 벨마인 듯, 사회자인 듯, 아니면 최정원인 듯 알게 모르게 하는 그런 매력이 있다.
 
배우가 하기 즐거운 작품이랑 관객이 보기 즐거운 작품은 다른 걸까?
모르겠다. 나도 공연을 자주 보러 가는 관객인데, 내가 좋아한다고 관객이 좋아하고 내가 싫어한다고 관객이 싫어하는 게 아니라 느낌이 다 다른 것 같다. 나는 좀 드라마가 강한, 그러니까 연기 위주로 가는 공연을 좋아한다. 내가 하지 않았던 작품으로는 “넥스트 투 노멀”, “아이다” 이런 작품. 그리고 펑펑 우는 걸 좋아한다. 대사가 딱 끝난 다음에 멜로디만 나와도 가슴이 아픈 그런 작품들 말이다.
 
시카고”를 하며 이번이 마지막이겠지 생각한 적은 없나?
그런 생각은 한번도 한 적이 없다. 마지막일 수 밖에 없으면 모를까, ‘이번이 마지막일 거야’ 하고 공연할 이유는 없는 것 같다. 나이 때문에 ‘이것이 나의 마지막일 거야’ 이런 생각은 안 해봤다.
 

 
" ‘난 주인공만 할 거야’ 하며 발버둥치지 않고 최선을 다할 거다. 그 시간들이 쌓여 70대, 80대에는 누구도 흉내 낼 수 없는 모습이 되었으면 좋겠다. "
 
 
스스로에게 나이가 드는 건 어떤 의미인가.
일단 슬프지 않다. 여자로서는 조금 섭섭할 수 있는데, 배우로서는 좋은 것 같다. 내 주름도 좋다. 지금 이 나이이기에 벨마를 하고 “맘마미아”의 도나를 할 수 있는 거지 않나. 내가 20대, 30대였다면 못했겠지. 지금에 맞게, 그리고 70대, 80대가 되어서도 그러고 싶다. 내가 좋아서 하는 일이고 행복하니까, ‘난 주인공만 할 거야’ 하며 발버둥치지 않고 최선을 다할 거다. 그 시간들이 쌓여 70대, 80대에는 누구도 흉내 낼 수 없는 모습이 되었으면 좋겠다. 그런 배우가 된다면 정말 좋을 것 같다. 뾰족한 돌이 파도에 의해서 동글동글해지듯이. 지금은 중간인 것 같다.
 
시간이 흐르면서 작품에서 받는 느낌도 달라졌나.
록시를 할 때도 ‘Nowadays’의 가사가 너무 좋았다. 살고 싶은 인생 찾아 원하는 대로 살아보라고, 왜냐하면 인생이 어떻게 갈지 모르고, 50년 뒤에는 달라지겠지만 지금은 이대로가 좋아, 그러니까 내가 원하는 대로. “시카고”라는 작품이 그냥 풍자적인 내용인 것 같지만 나중에 보면 진짜 철학적이다. 명성과 돈보다 더 중요한 건 내가 지금 행복한가, 이런 철학적인 메시지를 주기 때문이다. 매일매일 공연하면서 감동받는다. “시카고”를 하는 동안 배우로서뿐만 아니라 살아가는 데에 있어서도 교훈을 많이 얻었다.
 
무대에서 춤을 추고 노래하는 에너지는 어디에서 나오나?
좋아하는 일을 하니까. 공연을 안 했으면 좋겠다고 생각한 적이 한번도 없다. 그러니까 공연이 있는 날은 더 설레고, 공연이 없는 날은 조금 우울한 편이다. “맨 오브 라만차”에 보면 왜 산초한테 알돈자가 물어보지 않나. 진짜 기사도 아닌데 그 사람이 뭐가 좋다고 쫓아다니냐, 산초가 곰곰이 생각하다가 대답한다. “좋으니까.” 그게 답인 것 같다. “왜 공연할 때 에너지가 넘쳐요?”라고 물어보면, “너무 좋아하는 일을 하니까”라고 말하고 싶다.
  
16년 동안 한 공연을 하고 매번 같은 연습을 한다는 게 상상이 안 된다.
평생 밥을 먹지만 지루하지 않잖아. 오늘은 이래서 맛있고 내일은 저래서 맛있고.

최정원 같은 배우가 되고 싶다”고 말하는 후배가 많다. 한 인터뷰에서 아이비 씨가 롤모델로 최정원 배우를 꼽기도 했고. 그들에게 해주고 싶은 이야기가 있다면.
나도 아이비 씨나 옥주현 씨나 윤공주 씨 같은 친구들과 함께 공연할 수 있다는 사실이 행복하다. 그런데 그런 친구들이 어느 날 저도 정원 언니 같은 배우가 되고 싶다, 나도 나이가 들어서 저럴 수 있을까, 라는 이야기를 할 땐 아우 가슴이 뜨거워진다. ‘너 기사에 내 얘기 썼더라’ 하고 표현을 하지는 않지만, 솔직히 그게 상을 받는 것만큼이나 좋다. 상을 받으면 사람들이 이러지 않나. “앞으로 잘하라는 뜻으로 알고 받겠습니다.” 그거랑 같다. 공연하는 것도 행복하지만 이런 걸로 인해서 행복을 훨씬 많이 느낀다. 그래서 남들보다 더 많이 고민하고 관리한다. “아우 대충해, 나 오늘을 먹을래,술 한잔 마실래” 이런 게 없다.
 
찔린다.
자기 관리를 심하게 하는 편이다. 나만 잘하겠다는 게 아니라 같이 공연하는 동료와 후배들을 위해서. 슬픈 일이 있어서 울다가도 목을 아끼는 습관이 생기고, 기름진 음식도 많이 먹지 말아야지 하고 생각한다. 커피 마신지도 얼마 안됐다. 옛날에 커피가 목에 안 좋다는 얘기를 들었거든. ‘아, 이런 건 줄여야지, 나 평생 배우 할 거니까’ 이런 생각을 많이 했었다.
 
삶의 많은 부분이 뮤지컬에 맞춰 있다.
근데 그게 스트레스를 받으면서 한 게 아니라, 그냥 어느 날 누가 그거 목에 안 좋대, 그러면 그냥 맛이 없어진다. 몸이 항상 거기에 맞춰져 있다. 그리고 새롭게 발견한 건 착하게 살아야겠다.어렸을 때는 내가 잘해야겠다 생각을 했는데, 지금은 나를 위해서가 아닌 우리 공연을 위해서, 우리 컴퍼니를 위해서 라는 생각을 한다. 옛날에는 티켓이 팔리든 안 팔리든 관객들 반응이 좋으면 끝이었는데, 요즘에는 티켓이 안 팔리면 마음이 그렇다. 내가 어떻게 도와줘야 하지, 이런 생각이 들고. 

이 친구는 더 잘될 것 같아’ 하고 눈 여겨 보는 배우가 있을까?
최근에 “원스”라는 공연을 보고 전미도 라는 배우한테 마음이 갔다. 그가 표현하는 아픔과 기쁨이 내가 하고 싶어한 거랑 너무 비슷해서 좋더라. 그냥 연기로서 표현하고 절제하려고 하는 게…. 뮤지컬 무대라고 하면 크게 표현해야 관객들이 좋아하지 않나. 근데 그것의 깊이를 잘 아는 배우 같아서, 좋은 배우를 발견했다는 느낌이다.
 
마지막으로 이 작품을 통해 보여주고 싶은 게 있다면.
최정원이라는 배우가 “시카고”라는 작품을 이렇게 오랜 시간 고집하면서 출연하는 이유를 조금 보여주고 싶다. 보여준다는 게 더 과하게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내가 살아온 삶 안에서 벨마를 담아내고 이를 통해 작품에 담긴 철학적인 메시지를 전하는 것이다. 그리고 무대세트가 변하지 않아도, 의상이 바뀌지 않아도 가슴을 한 대 콱 맞은 것 같은 감동적인 뮤지컬이 있다는 걸 알려주고 싶다.
추천작
    추천작
    추천작
    광고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