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추상미술 1세대인 수화 김환기를 기리기 위한 미술관이다. 공기를 ‘환기’시킨다는 의미는 물론 아니지만, 그의 그림을 보고 있으면 묘하게 그런 기분이 든다. 나무와 꽃이 둘러싼 하얀 건물과, 부암동의 고즈넉함도 한몫한다. 본관, 별관, 수향산방으로 구성된 이곳은 작가 김환기의 미술관인 동시에 그의 아내 김향안이 떠오르는 공간이다. 그들은 완벽한 소울메이트였다. 김환기가 꿈을 꾸면 김향안은 그것을 현실로 만들었다. 김환기가 프랑스로 떠나기 1년 전인 1955년, 혼자 파리로 떠나 미리 터를 닦아놓은 사람은 김향안이었다. 1974년 남편이 세상을 떠나고, 그가 구상하던 현대미술관을 이렇게 실현한 사람도 김향안이다. 김환기의 뉴욕 작업실이 복원되어 있고 그가 아내에게 쓴 편지들이 전시된 수향산방 입구엔, 그녀의 이런 글귀가 적혀 있다. “내 영혼은 수화(樹話)의 영혼하고 같이 미술관을 지킬 것이다.” (개화기 멋진 신여성으로, 수필가이자 미술 평론가였던 김향안이 알고 싶다면, 그녀의 수필집 [월하(月下)의 마음]을 추천한다.) 환기미술관은 김환기의 유화, 수채화, 드로잉 등의 작품과 유품, 저서, 편지, 다큐멘터리 사진 등의 자료를 소장하고, 이를 다양한 콘셉트의 기획전으로 소개한다.
현재 이곳에서는 [김환기, 사람은 가고 예술은 남다]라는 제목의 전시가 열리고 있다. 1950년대 초에서 1970년대 말까지 김환기의 대표작과 드로잉, 콜라주 등 400여 점의 작품을 전시한다. ‘사람은 가고 예술은 남다’는 김향안의 문장으로, 그녀가 1989년 김환기의 전기를 다룬 책의 제목이다.(이번 전시는 김향안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는 전시이기도 하다.) 1층에서 3층으로 이어지는 본관 전시장 곳곳, 그림 옆에는 김환기의 일기가 쓰여 있다. “봄내 신문지에 그리던 중에서 나는 나를 발견하다. 내 재산은 오직 ‘자신(自信)’뿐이었으나 갈수록 막막한 고생이었다.” 1967년 10월 13일의 일기다. 1967 년은그가 뉴욕에서 생활할 때다. 그리움, 외로움, 혹은 두려움일까. 일기와 그가 찍은 노랗고 파란 점들을 번갈아보며, 그의 마음을 헤아려본다.